영화 <소리도 없이>가 개봉을 앞뒀다. 지난 6월 개봉한 영화 <#살아있다>에 출연한 배우 유아인의 차기작이자, 유재명과 유아인이 처음으로 호흡을 맞춘 작품이다.
<소리도 없이>는 유괴된 아이를 의도치 않게 맡게 된 두 남자가 그 아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렸다. 유아인과 유재명은 범죄 조직의 시체를 청소하는 태인과 창복 역으로 출연한다.
<#살아있다> 유아인이 꼽은 좀비 영화 BEST3
영화 <#살아있다>가 개봉을 앞뒀다. <부산행>과 <킹덤> 시리즈를 잇는 한국형 좀비물인 <#살아있다>는 개봉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. 코로나 19 사태 후 <침입자>와 <결백>, <사라진 시간>을
movie-boobi.tistory.com
극 중 유아인이 맡은 태인은 말을 하지 못한다. 말없이 묵묵하게 범죄 조직의 뒤처리를 하며 근근이 살아가는 인물로, 어떤 이유를 말문을 닫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. 그의 곁은 지키는 사람이 창복이다.
창복은 먹고살기 위해 범죄 조직의 청소부 일을 시작했지만, 현재는 일상이 됐다. 이 일에 근면 성실이라는 말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, 그 누구보다 근면하고 성실하게 자신이 맡은 일을 해결한다.
두 사람의 인연은 영화 속에서 크게 다뤄지지 않지만, 창복의 대사로 미루어 볼 때, 창복은 태인의 어린 시절 그를 돌봐주면서 인연이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.
영화의 제목인 <소리도 없이>는 언뜻 태인은 지칭하는 말로 보이기도 한다. 소리도 없이 시체를 처리하고 유괴사건에 휘말렸을 때도 유괴를 당한 소녀 초희(문승아)를 조용히 돌본다. 하지만 영화의 원제를 알고 나면 전혀 다른 의미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<소리도 없이>의 원제는 <소리도 없이 우리는 괴물이 된다>라는 문장이었다. 연출을 맡은 홍의정 감독은 원래 생각했던 제목은 '소리도 없이 우리는 괴물이 된다'라는 문장이었다고 밝혔다. 홍의정 감독이 말한 제목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.
"스스로 정할 수 없었던 각자의 환경에서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변화하며 자란 우르들이 마치 개개인의 모습을 한 괴물과 같았기 때문이다. 후에 제목을 고민해보니 '괴물'이라는 단어가 주는 뉘앙스가 너무 강해서 직접적인 표현을 빼고 <소리도 없이>라는 제목으로 정하게 됐다."
원제를 알고 나면 영화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. 그리고 유아인이 집중했던 시선은 영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로 분산된다. 태인을 비롯해 창복도, 심지어 납치 피해자인 초희의 행동 하나하나가 또 다른 모습으로 보일 것이다.
<소리도 없이>는 10월 15일 개봉 예정이다.
김혜수 복귀작 <내가 죽던 날> 같은 공간, 다른 시간에서 마주한 그들
배우 김혜수 복귀작 <내가 죽던 날>이 11월 개봉을 확정했다. 영화 <내가 죽던 날>은 유서 한 장만 남긴 채 절벽 끝으로 사라진 소녀와 삶의 벼랑 끝에서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, 그리�
movie-boobi.tistory.com
<돌멩이> 시작과 끝을 장식한 노래는 무엇일까
영화 <돌멩이>는 시작과 끝을 함께한 OST가 있다. 다양한 감정을 극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작품이지만 직접적으로 감정을 강조하기 보다 담담한 분위기의 OST를 선택한 것이다. 영화의 시작과 끝에 �
movie-boobi.tistory.com
iuzzib@daum.net (오타 및 기사 제보)
※저작권자 ⓒ무비부비. 무단 전재-재배포 금지
<내가 죽던 날> 소녀-형사-목격자…그들의 이야기 (0) | 2020.11.02 |
---|---|
실화 기반? <삼진그룹 영어 토익반> 탄생 시킨 실제 사건 비하인드 (1) | 2020.10.12 |
<돌멩이> 시작과 끝을 장식한 노래는 무엇일까 (0) | 2020.10.06 |
김혜수 복귀작 <내가 죽던 날> 같은 공간, 다른 시간에서 마주한 그들 (0) | 2020.10.06 |
김대명x김의성 <돌멩이> 미리보는 비하인드 (0) | 2020.09.05 |
댓글 영역